위키피디아의 Appearance UI에 대한 생각

주사위에 대한 내용을 찾다가 검색엔진을 통해 wikipedia에 접속했다.
그런데 전에 보지 못한 Appearance라는 섹션이 눈에 띄었다.

ux of wikipedia

보통 모바일 앱의 설정에서 볼 수 있는 옵션인데 웹에서 즉각적으로 폰트 크기, 테마, 폭을 조정할 수 있게 한 UI는 자주 보지 못했다.
일반적인 웹사이트들은 큰 필요성을 못 느낄 수 있는데 블로그나 뉴스 웹사이트들은 매우 유용한 기능이라 생각했다.
좀 더 찾아보니 이 스레드를 발견했다.
이 기능은 이미 2022년에 개발되어 위키피디아 로그인한 사용자들은 이용할 수 있었다.
그런데 2024년 5월에 Wikimedia Foundation Web team이 본 기능을 로그아웃된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변경에 대해 언급한 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.
난 위키피디아에 계정이 없고 로그인할 생각도 해본 적이 없다.
어떤 정보를 검색엔진에 검색할 때 함께 나오던 위키피디아에 좋은 정보가 있으면 방문할 뿐이었다.
일반적인 사용자에게 이 Appearance UI는 매우 좋은 기능이다. 특히 테마를 바꾸는 기능과 줌없이 폰트 크기를 바꾸는 기능이 그렇다.
위키피디아는 이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쿠키에 enwikimwclientpreferences라는 항목으로 저장해두기 때문에 Private 모드가 아니라면 재접속 시 설정이 유지된다.

블로그에 추가할만한 기능이라 생각되서 개발자 툴에서 wikipedia 소스를 보고 비슷하게 구현을 해보았다.
간단해보여서 바닐라 JS로 했는데 전체적으로 React로 하면 더 코드량이 줄어들어 같다.

그동안 자세히 보지 않았던 위키피디아 구성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이었는데 생각보다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.
아마 한국 사용자들의 대부분은 위키피디아 홈에 접근하지 않을 것 같은데 이 곳에 날마다 오늘의 지식과 뉴스들이 업데이트된다.

home of wikipedia

앞으로 위키피디아에 직접 접속하는 시간이 생길 것 같다.